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사회일반

고강도 집중단속에도 건설현장 사고 반복…정부 대책 무용지물

올해 1월~7월 강원 중대재해사고 사망자 12명
소규모 건설 현장에서도 근로자 추락 등 이어져
현장 노동자들 적정공사비 확보 등 필요성 제기

◇강원일보DB.

정부가 건설현장 각종 사고 등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예고하고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있지만 산업현장에서의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1시20분께 화천군 간동면의 한 주택 공사장에서 지붕판넬 작업자 A(61)씨가 6m 높이의 사다리에서 추락했다. A씨는 쇄골 골절 등의 부상을 입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 오전 11시17분에는 철원군 서면의 한 공사현장에서 작업하던 B(60)씨가 2m 사다리에서 떨어져 팔목이 부러지는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강원지역 산업현장에서 중대재해 사고로 분류된 사망자는 총 12명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건설업(7건)과 제조업(3건) 부분에서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사고원인은 떨어짐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딪힘 3건, 끼임 1건 등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국적으로 중대재해 사망사고가 잇따르며 정부는 산업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고강도 점검을 진행하고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각 지자체도 중대재해 예방 현장점검을 실시하며 안전사고 예방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의 사고가 반복되고 있어 정부와 지자체 대책의 실효성 논란이 나오고 있다.

현장 노동자들은 총 공사비에 안전관련 비용을 필수경비로 포함시키고 이를 위해 관급공사 및 민간공사 모두 충분한 예산이 확보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강원본부 관계자는 “공사비가 적으면 필수 안전시설을 설치할 수 없고 이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현장 노동자들에게 전가된다”며 “적정 공사비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