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광지역 활성화’는 모든 선거에서 공약으로 등장하지만 별다른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저 마다 탄광과의 인연을 강조하며 폐광지 공약을 제시했다.
올해는 6월 삼척 도계광업소의 폐광을 마지막으로 국내 석탄산업의 끝을 알리는 절박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진정성 있는 공약과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재명 후보는 스스로를 ‘광부의 아들’로 규정하고 있다. 이 후보가 내놓은 폐광대책은 청정에너지, 의료, 관광 등 참신한 공약이 주를 이룬다. 태백은 지난해 폐광한 장성광업소 군수 납품 사업 등 국가지원 공공 대체 사업, 대기업 연계 소규모 기업 유치, 주민참여형 풍력발전 등을 공약했다. 정선은 강원랜드 글로벌 리조트 육성 지원, 영월 청정에너지 등 미래산업 육성, 삼척 그린·블루 혁신클러스터 등을 약속했다.
다만 대부분 새롭게 도입되는 사업임에도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김문수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재직하던 지난 3월 삼척 도계광업소를 찾아 직접 입갱까지 했다. 김 후보의 공약은 이미 행정절차 등이 진행 중인 사업 위주라는 점에서 비교적 실현 가능성이 높다.
김 후보는 삼척 중입자 가속기 의료클러스터 및 태백 미래자원클러스터 등 폐광지역 경제진흥사업 조속 추진, 강원랜드 글로벌 복합리조트 육성, 폐광지역 지정면세점 설치를 제시했다. 특히 폐광지 경제진흥사업은 이르면 6월 중 예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김 후보의 공약은 이미 수년 간 추진 중인 사업이라는 점에서 다소 눈길을 끌만한 요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측면이 있다.
도에 따르면 폐광에 따른 지역경제 예상 피해 규모는 8조9,000억원(삼척 5조6,000억원, 태백 3조3,000억원), 실업규모는 태백 876명, 삼척 도계 1,685명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