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정치일반

‘첫 단추 잘 끼웠다’··· 관세 후속 협의 및 동맹 현대화 논의는 남아

트럼프 SNS소동으로 ‘이상기류’ 관측에도 “회담, 성공적”
위성락 “경제통상 안정화 한 단계 더 진전될 것으로 전망”
농산물 시장 개방 및 주한미군 등 민감한 쟁점 논의 안돼
관세 합의 후속협상, 한미동맹 현대화 줄다리기 이어질 듯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한국프레스센터가 마련된 호텔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영접나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큰 잡음 없이 마무리됐다. 양 정상은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덕담을 주고 받았지만 관세 합의 후속 협상 및 한미동맹 현대화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세부 논의는 진지하게 다뤄지지 않아 여전히 ‘불씨’로 남았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5일(현지시간) 정상회담 후 브리핑에서 “경제통상분야의 세부 협의가 남아있지만 전체적으로 투자 및 구매, 제조업 협력 등에 대해 정상 차원의 논의가 있었고 후속 협의도 이뤄질 것”이라며 “경제 통상 안정화가 한 단계 더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동맹 현대화에도 큰 방향에서 의견 일치가 이뤄졌고, 다양한 공감대가 있었다. 이 대통령도 국방비 증액 등을 언급했다. 조선 및 원자력 협력 등 새로운 협력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고 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양 국 정상이 공감대를 확인하고 이의 없이 끝났다”며 “감히 성공적인 정상회담이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평화 메이커’라고 치켜 세웠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에게 “위대한 지도자”라며 “미국의 완전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정상회담 직전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 “한국에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혁명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글을 올려 협의가 난관에 부딪힌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지만 실제 회담은 시종일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첫 정상회담에서 신뢰와 친밀감을 쌓았고 트럼프 대통령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초청, 긍정적 답변을 얻어낸 점은 성과로 꼽힌다. 북미 회담 및 3자 회담의 가능성을 살리면서 이 대통령이 강조해 온 국익중심 실용외교를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회담 전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전망됐던 관세 후속 논의와 방위비 분담금 문제, 농축산물 시장 개방,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 등은 진지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사실상 한미 간의 우호적 동맹 관계를 확인하는 선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날 논의되지 않은 관세 협상의 세부 내용이나 동맹 현대화 등을 미국이 선명하게 요구해왔던 만큼 여전히 쟁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농민을 위한 시장 개척”을 언급하며 “미국에서는 시장 개방을 원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미국행 비행기에서 기자들에게 “이미 합의된 사항을 일방적으로 변경해 달라는 요구는 쉽게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향후 이에 대한 양국의 줄다리기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