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언

[언중언] 늦어지는 선거구 획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4·10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아직 운동장(선거구)이 결정되지 않고 있다. 사정이 이러니 선거에 나설 선수(예비 후보자)들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선거에 임박해 선거구가 바뀔 경우 그간 쏟았던 노력과 정성이 도로 아미타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원특별자치도민들은 이미 2020년 4·15 총선 당시 불과 43일 전 선거구가 변경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해 12월5일 국회에 선거구 획정안을 제출했다. 이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최종 검토하도록 돼 있는데 아직 오리무중이다. 여야가 정개특위를 넘어 양당 수석과 정개특위 간사 등이 참여하는 2+2 협의체를 통해 선거구제 개편을 논의했지만 확정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획정이 더뎌지자 불만은 강원특별자치도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부산의 경우 남구갑·을 선거구 통합, 부천시는 4개 선거구가 3개 선거구로 감소, 경북 울진군은 청송·영덕·의성 편입 등이 선거구획정위 안으로 제안되면서 각 지역 내 후보자들 간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문제는 후보자를 비롯, 지역 내 주민들이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는다는 점이다. 유권자들의 후보 선택 방식은 정당, 후보자, 공약 등 복잡하고 다양한데 선거일에 가까워 선거구가 변동된다면 제대로 된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재 정치권을 달구고 있는 권역별 병립형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도 주민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권역별 병립형은 전국을 수도권과 중부, 남부 등으로 나눠 권역별 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한다. 준연동형은 지난 총선 당시 도입된 것으로 정당득표율과 지역구 선거 결과를 연동하는 방식이다. 여야 간, 각 당내 계파 간 이해득실이 얽혀 있어 여전히 논쟁 중이다. 물론 여기에도 유권자인 주민 의견은 빠져 있다. 어느 때보다 정치인들이 주민 의견을 수렴할 선거철이다. 하지만 정치권이 정작 주민들의 속사정은 듣지 않는다는 생각이 드는 건 그저 기분 탓일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