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산불방지 현장 대책은 발화요인 사전 차단이 우선

현장 중심의 산불방지 조치를 치밀하게 펴야 한다. 가뭄 걱정을 해야 할 정도로 메마른 날씨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상청이 내리는 건조주의보가 발령과 해제를 되풀이하지만 사실상 계속되는 실정이다. 더구나 계절적으로 화재 위험이 높은 시기여서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북부지방산림청과 동부지방산림청이 지난 1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를 '2014년 가을철 산불 조심기간'으로 설정했다. 이미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하고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지자체 담당자들까지 불러 모아 관계 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산불 조기 신고·접수·진화체계 구축은 물론이고 피해 최소화를 각별히 당부했다. 그런가 하면 도내 국립공원 관리사무소들도 산불 방지를 위해 고지대 탐방로를 통제한다. 설악산과 오대산은 15일부터, 치악산은 17일부터다. 산속에서의 흡연, 인화물질 반입, 불법 취사 및 산행 등을 강력히 단속하기로 했다.

매년 이맘때면 으레 시행하는 조치다. 그러나 올해는 더 우려된다. 강수량이 평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당연히 산불위험지수가 높다. 이미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산림재해모니터링요원, 산불방지 패트롤, 산불감시요원 등을 배치했으나 걱정을 놓을 수 없다. 일교차가 커 주민·방문객이 습관적으로 화기를 사용하는 탓이다. 게다가 감시원들의 담당구역도 넓어 더 불안하다. 지형과 산세가 험난해 시선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태반이다.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감시체제를 갖춰야 하는 이유다.

부주의, 방심이 대형산불로 이어진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다. 최선은 인화물질 소지와 취급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초동 진화 태세는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한겨울 폭설기를 제외하면 내년 여름 이전까지 산불 예방에서 한시도 시선을 뗄 수 없다. 관계 기관의 장기 대비책도 수시로 재점검할 것을 당부한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