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응급실까지 난입하는 멧돼지 대응책 세워야

야생 멧돼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해마다 멧돼지에 의한 농가의 피해가 심각한 지경이다. 날이 갈수록 도심지 출몰도 잦아지면서 국민적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급기야는 강릉에서 멧돼지가 병원 응급실에 침입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적당히 넘어갈 단계를 넘어선 실정이다.

지난 18일 오전 이른 시간에 강릉의료원 영안실에 멧돼지가 출현했다. 사나운 성질을 뽐내기라도 하듯 10여 분간 이리저리 날뛰며 난동을 부리다 출동한 경찰에 의해 사살됐다는 소식이다. 멧돼지가 자동문을 통해 이 병원 응급실을 들락날락하기까지 했다니 위험천만하기 이를 데 없다. 이런 소동은 비단 도내뿐만이 아니다. 심지어 서울 도심 한복판에 나타났다는 뉴스도 끊이지 않고 있다. 야생동물보호 정책을 펴다 보니 근래 들어 개체 수가 부쩍 증가한 탓이다. 더구나 각종 개발로 인해 자연생태계 내의 먹이가 부족해져 민가로 내려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올해는 임산물 흉년으로 겨울철에 먹이를 찾아 민가를 습격하는 멧돼지가 훨씬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주민들의 견해다.

멧돼지 서식밀도는 이미 수년 전부터 기준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1년 기준 도내 멧돼지 서식밀도는 100㏊당 4.5마리다. 면적당 적정 수준이 1.1마리라니 4배를 초과하고 있다. 현재 6만여 마리가량이 도내에 서식한다는 추정이다. 2011년부터 지자체별로 '멧돼지 포획 기동단'을 운영하고 있지만 감당하기 어려운 처지다. 강원도 집계 결과 지난해 유해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액이 11억 원을 넘어섰다. 농작물 피해면적이 177㏊에 이르고 훼손 건수도 2,048회라고 한다. 이런 상황이지만 당국의 마땅한 대응책이 보이지 않아 답답하게 한다.

지자체들이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예방을 위해 시설 설치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한계를 넘었다. 멧돼지·고라니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포획을 통해 개체 수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물론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더구나 도심지에까지 나타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돌이킬 수 없는 사고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대책을 강구할 일이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