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막대한 혜택주는 `녹색기업' 中企는 왕따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LS전선·만도·하이트맥주 등

도내 13곳 모두 대기업 일색

수억짜리 오염방지시설 갖추고

전문인력 고용해 보고서 내야

중소기업에겐 진입 장벽 높아

환경오염 발생을 최소화하는 기업에게 막대한 혜택을 주는 '녹색기업 인증제'가 대기업의 전유물이 되고 있다.

환경개선투자 및 전문인력 양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 밖에 없는 중소기업은 찬밥취급을 받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207개, 도내엔 13곳의 녹색기업이 운영중이다.

도내에서 운영중인 녹색기업은 LS전선 동해공장, 만도 원주공장, 하이트맥주 강원공장, 국순당 횡성공장, 알펜시아, 용평리조트, 한솔 오크밸리, 대명비발디리조트 등 대기업 일색이다. 도내 중소기업 가운데 녹색기업으로 지정된 곳은 단 한곳도 없으며 전국에도 8곳뿐이다.

녹색기업은 대기환경,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 및 유해물질 관리, 하수도, 악취방지 등 환경과 관련된 대부분의 검사 및 보고 등을 면제받는다.

또 금융 융자지원과 자금지원은 물론 환경보전·개선 사업, 환경개선을 위한 교육·훈련 및 홍보사업시 국비지원을 받는 막대한 혜택이 주어진다.

하지만 이 같은 혜택은 중소기업에겐 그림의 떡이다.

우선 중소기업에겐 녹색기업 진입 장벽이 너무 높다. 현행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따르면 녹색기업은 오염방지시설 및 설비를 모두 갖추고 환경관리 전문인력을 고용해 녹색경영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수억원에 달하는 오염방지시설과 함께 제조공정상 환경오염은 없는지에 대한 외부용역 및 시설진단, 전담부서가 필요하지만 녹색기업 지정을 위한 시설개선시 지원되는 국비는 최고 2,000만원에 불과하다.

중소기업 관계자들은 대기업들이 독차지하는 녹색기업 지정 후 지원을 줄이고 중소기업도 녹색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정 전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춘천에서 의류업체를 운영하는 김모(32)씨는 “중소기업은 사업장이 대부분 소규모이기 때문에 적은 금액으로도 많은 기업에게 환경오염방지 시설을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열악한 중소기업의 형편상 정부가 요구하는 수준의 녹색경영이 힘들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며 “올해부터 원하는 중소기업에겐 적은 비용으로 녹색기업에 지정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기영기자 answer07@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