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읍·면소재지 `살 집 없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농촌지역 주택난 여전 직장인 상당수 인근 도시서 출퇴근

지자체 인구 감소와 직결 … 아파트 건설 등 공급 늘려야

도내 중소도시와 농촌지역 읍·면소재지에 '살 집'이 부족하다.

강원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도내 주택 보급률은 107.08%로 전국 평균 주택보급률(102.3%)보다 오히려 높다. 이대로라면 주택난은 없어야 한다. 그러나 도내 대부분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의 주택난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삼척에 사는 박모(44)씨는 73㎡ 규모의 집에 살다 좀 더 넓은 규모의 아파트로 이사를 준비 중이지만 부동산 시장에 원하는 면적의 아파트가 아예 나오지 않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박씨는 부동산업체에 아파트 물량이 나오면 바로 연락을 달라고 했지만 국책사업으로 주택이 부족해 이 같은 부탁만 6건 이상 받은 상태라는 회신만 돌아왔다.

화천지역의 경우 신축주택이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화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비롯한 상당수 직장인은 인근 지역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다. 직장인 김모(34)씨는 “일부 아파트가 간간이 매물로 나오긴 하지만 수가 부족한데다 수요이 많다 보니 가격도 상대적으로 높아 결혼 후에도 주변 지자체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월군은 젊은층이 선호하는 66㎡ 규모 아파트가 부족하고,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평창군 진부면의 경우 각종 토목공사로 외지 인력이 몰려 공사 편입용지로 기존 주택에서 물러난 주민들이 들어가 살 집이 부족하다. 나머지 중소도시나 시·군도 사정은 비슷했다.

시·군의 주택 부족은 주민들을 타 지자체에서 출퇴근하게 만들고, 지자체의 인구 감소와 직결돼 시·군에서 가장 민감한 사안이다. 하지만 각 지자체에서는 주택보급률이나 미분양주택 현황 등 기본적인 통계 자료에 의지하고 있어 통계에 잡히지 않는 주택부족 현상을 파악하고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중소도시나 군단위 농촌지역의 임대아파트 사업을 기피하고 있는 것도 농촌 일부지역 주택난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이이재 의원은 LH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주거 수요에 대한 절박성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부지를 제공하고 LH가 공동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내놓기도 했다.

도 관계자는 “젊은층은 도심을 선호하고 수도권 퇴직자는 도내 외곽으로 옮겨와 살고 있지만 그 가구수의 편차가 생기며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특히 교통망 발달로 타 지역 거주도 많아지고 있다”며 “구도심 재정비사업,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재개발과 재건축 등을 통해 수요와 공급의 격차를 줄여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최영재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