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GTI 당사국 회의 총리·장관급으로 격상해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2018평창·GTI총회 유치 기념 동해안 발전전략 심포지엄

제1분과 광역두만강계획(GTI)과 연계한 발전전략

러·북·중 등 연안도시들 간의 네트워크형 광역도시권 구축

■기조강연-한표환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

한표환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은 기조강연을 통해 “강원도의 강릉 동해 삼척 등과 중국 창지투(창춘~지린~투먼) 지역, 러시아와 북한 접경지역 등 연안도시 간 경제 산업 교통 물류 등 네트워크형 광역도시권을 구축해 초경량부품 의료소재 친환경 에너지 등 미래 신기술과 신산업 문화관광 물류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주제발표

△막심 볼코브 주한 러시아 대사관 참사관=2014년 동계올림픽이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만큼 소치와 2018 개최지인 평창과의 협력 방안이 많을 것이다. 러시아는 철도 연결, 가스 파이프 라인 부설, 송전선 건설 등 남·북한과 함께하는 3자 사업에 대해 관심이 많다. 경제의 최첨단 분야, 현대적 에너지, 교통 물류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역내 협력을 제일 우선시한다.

△윤승현 옌볜대 교수=중국 중앙 정부는 동북진흥정책을 2020년까지 추진하면서 지린성에서도 이와 연계된 국가 지원 정책인 장길도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장길도 지역 발전을 가속화해 두만강 지역 개발과 동북아 지역 협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계기로 지린성과 10여년의 우호 관계인 강원도는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의 조속한 지정, 시베리아횡단철도와 한반도 종단철도 연결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전홍진 강원도 지역협력팀장=중국 동북 3성, 극동 러시아, 몽골, 북한, 우리나라, 일본을 아우르는 광역두만강계획은 앞으로 지역 간 협력을 통한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 시대 구현을 위해 회원국별 노력을 통해 동북아 경제 통합을 위한 제도적 협의체로 승화 발전해야 한다. 광역두만강계획 당사국 회의 대표를 차관에서 장관 또는 총리로 격상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때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참여 모델 개발이 필요한데 이 경우 속초, 양양은 창구역할을 하고 강릉, 동해는 전진기지, 원주와 춘천, 경기 북부를 비롯해 경북, 울산,부산은 연계 협력 도시로서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토론

△김영식 강릉원주대 교수=속초에서 러시아 자루비노,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운항하는 선박의 러시아 통관 비자 값을 내리거나 무비자가 필요하다. 동해선 철도와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를 연결하기 위해 20여년간 노력해 왔는데 성과가 없는 점도 아쉽다. GTI가 강원도에 미치는 영향이 뭔지 막연하다.

△이현훈 강원대 경영대학원 부원장=GTI, 환동해 교류 협력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 강원도는 수도권의 변방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GTI 전략 계획 중간 리뷰 프로젝트를 중국, 러시아, 몽골, 한국학자들이 만드는 중이다. 9월 말 평창 알펜시아에서 열리는 GTI총회에서 발표한다. 한국의 입장, 강원도 입장을 많이 반영하려고 노력 중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나온 좋은 의견도 적극 반영하겠다. △이수호 지역발전위원회 과장=이제는 실질적으로 부족했던 경제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역내 교역량 확충과 인적 교류 활성화가 중요하다. 동계 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한 관광산업 육성 전략도 필요하다. 페리 항로, 항공 항로를 통해 강원 동해안 발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권혁순 강원일보 논설실장=강원도가 요동치고 있다. 삼척은 에너지 중심도시로 부상하고 있고 강릉은 마그네슘, 리튬 등 소재 산업 중심지로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다. 동해안권 경제자유 구역 지정 전망도 밝다. 여기에 10여년간 기다렸던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심포지엄이 향후 동해안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고달순기자 dsgo@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