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언

[언중언]장마전선 속에서

날씨가 꾸물꾸물하다. 장마전선이 닥쳤다. 장마철, 우기(雨期)가 시작된 것이다. 윤흥길의 소설 '장마'가 떠오른다. 이야기는 두 명의 할머니가 축이다. 6·25전쟁 당시 빨치산 대원으로 활동하는 아들을 둔 친할머니와 국방군에 입대해 전사한 아들의 한을 안고 사는 외할머니다. 이 할머니들은 사돈지간이며 한집에 산다. 이런 기구한 운명이 서로를 증오하게 한다. 동족상잔에 의한 비극이 인생의 장마를 상징한다.

▼ 박진성의 시 '장마와 장마 사이'에는 고달픈 요즘 세상을 살아내는 젊은 시인의 고고한 문인정신, 의지가 확고하다. “…/ 반지하 창문 아래에 누워서 빗소리를 들어도/ 뿌리까지 젖지는 못했다 나무의 뿌리 깊이에서/ 다운받은 음악 파일을 밀어 올려도/ 옆집 여자는 카드빚을 진 아들과 자꾸만 싸웠다/ 장마가 올 것이다 기다렸다는 듯/ 습기가 파고들겠지 어서 오시라/ 모든 것이 부패할 준비가 되어 있는 집/ 방부제처럼 나는 혼자서 싱싱하리라.”

▼ '장마'는 살가운 우리말이다. 한자로 '임우(霖雨)' '임우(淋雨)'라고 쓴다. 빗물이 숲을 이룬다는 뜻이다. 예부터 '오뉴월 장마'라고 했다. 양력으로는 6~7월이다. 음습한 날이 한 달여, 지루하게 이어지는 제5의 계절이다. 오호츠크해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동북기류와 북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따뜻하고 습한 서남기류가 충돌, 장마기류가 생긴다. 이것이 북상, 마침내 한반도에도 많은 비를 쏟아낸다.

▼ 바람을 타고 오는 수마(水魔)는 태풍, 해일, 홍수, 우박, 냉해 등으로 장마의 절정을 보인다. 이런 시기 한몫을 챙기니 '장마 마케팅'이다. 기상정보를 활용하는 산업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시도 때도 없이 폭우가 닥쳐 당황하게 한다. 예측 가능하지 못한 세태, 음지에서 자라는 각종 비리, 투명하지 못해 불공정해지는 사회가 날씨에도 두루 반영되는 경우다. 햇볕, 맑은 세상을 고대하는 장마철이다.

용호선논설위원·yonghs@kwnews.co.kr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