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도내 미군 주둔지 오염조사 신뢰성 갖춰라

주한미군기지 고엽제 매몰 파문으로 춘천 캠프페이지와 원주 캠프롱 환경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졌다. 캠프페이지에서 핵무기 사고가 있었다는 미군 전역자의 증언까지 나왔다. 사정이 이러해 지역 시민단체들이 정부와 춘천시가 객관적 검증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두 곳 모두 오염 치유와 복원이 최대 관심사인 만큼 추이를 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국방부는 지난달 춘천시가 질의한 춘천 캠프페이지 고엽제 매몰 관련 회신에서 의심물질이 발견된 바 없다고 했다. 아울러 전문조사기관의 환경기초조사 및 정밀조사 결과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최근 본보 등이 전역 주한 미군의 증언을 연이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1972년 캠프페이지에서 심각한 핵무기 사고가 났었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고장 난 핵탄두를 헬기로 수송해 춘천 남쪽 지역에 묻었다는 것이다. 요사이 불거진 고엽제 매립 정황을 감안하면 무시하고 지나칠 사안이 아니다. 핵탄두가 묻힌 곳에 대한 시민들의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주 캠프롱 일대의 환경영향 조사를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도 커졌다. 이곳은 지난해 6월 공식 폐쇄됐지만 반환절차가 미뤄지면서 아직까지 환경영향 조사는 착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외부에서 확인된 기름유출 사고가 무수했던 만큼 오염처리가 간단한 일이 아닐 것이라는 관측만 무성하다. 시가 이곳 활용 방침을 정해놓았지만 낙관할 일이 못 된다. 부지 반환 문제는 국가 간의 일이고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환경오염 치유, 정화방법, 복원비용 등 풀어야 할 일이 산적하다.

캠프페이지와 캠프롱은 춘천과 원주 지역발전의 중심점이다. 이 현안이 풀려야 연계한 도시계획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럼에도 기지 내 환경오염 처리에 봉착해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시급하다고 적당히 넘어갈 사안이 아니라는 점이다. 전국으로 번지고 있는 고엽제 매립 파문에 따라 미국 측의 정밀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는 의혹이 팽배해지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가 해당 기관에 민관합동 환경정밀조사를 요구하고 나선 이유다. 오염실태와 치유·복구에 대해 시민이 수긍할 수 있는 신뢰성 확보에 관계당국이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야 할 때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