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1일 현재 도내 구제역 살처분 가축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 오염현상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 매몰지에서는 침출수가 추출되지 않는 등 앞으로의 지하수 오염 우려는 여전하다.
도는 이날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가축 매몰지 관리 강화 및 축산업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도에 따르면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493개 관정에서 수질검사를 한 결과 가축 매몰에 따른 오염은 발견되지 않았다. 도는 또 가축 매몰지 176곳에서 지난 달 30일까지 309회에 걸쳐 875톤의 침출수를 뽑아냈다. 하지만 도내 매몰지 470곳 중 294곳에서는 아직 침출수가 추출되지 않고 있다.
도 관계자는 “소 매몰지의 경우 침출수를 뽑아내는 유공관이 막혔거나 소규모 매몰지는 침출수가 매몰지 내 흙에 그대로 스며들었을 가능성도 있다”며 “침출수 미발생지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에서는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들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날 도는 구제역 피해에 따른 축산업 안정화 대책으로 가축 조기 재입식, 명품 강원한우 프로젝트 본격 추진, 사육환경 개선 지원 강화, 조사료 생산기반 확대, 면역강화 사료공급시설 확충 등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돼지는 전국적으로 피해가 커, 내년 6월 말이 돼야 구제역 피해 이전의 사육 규모 회복이 가능할 전망이다. 도는 또 앞으로 가축 전염병 방역을 위해 농장 방역을 강화하고 위험 요인을 차단하는 등 가축방역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마을 간, 농장 간 자체 차단방역 체계를 갖춰 분기마다 소독과 교육을 시행하고 가축 유통인 등록제 도입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규호기자 hokuy1@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