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소하천 `살리고 가꾸고 지키기' 주민들 팔 걷었다

2009 한강생태문화탐사 생명의 물길따라, 문화의 꿈길로

◇대홍종합건설(주)이 인제군 한 자연하천에 자연석을 이용해 설치한 어도보 전경. 연속성과 통과성이 뛰어난 생태이동 통로를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3> 소하천이 희망이다

제1차 팔미천살가지운동협의회 열려

자연생태형 하천 복원 새 모델 제시 목표

이장·새마을지도자·부녀회 등 동참

한강 소하천 중심 주민 네트워크도 강화

지난 9일 춘천시 동산면 원창3리 마을회관에서 작지만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제1차 팔미천살가지운동협의회였다.

국토의 실핏줄 같은 역할을 하는 소하천을 살리고 가꾸고 지키는 운동에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본격 시작된 것이다.

자연생태하천은 생명의 생산 유지, 재생산 기능과 유역 내 지연동식물의 서식처 기능, 산과 물의 조화에 의한 경관 조성 등의 환경적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도내의 경우 수도권 용수와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기능 등 자원적 가치도 있다. 도내에는 3,600여개의 개울이 있고 한강지류에는 1,064개의 소하천이 있다.

팔미천은 농촌지역 소하천으로 비교적 자연형 하천의 모습을 잘 갖춘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그동안 농업용수 확보와 홍수 등 자연재해의 우려로 보와 제방이 설치되며 점차 훼손돼 가고 있다. 원창리와 군자리 일대를 가로지르는 팔미천 구간에만 500m당 1개씩 총 16개의 보가 설치돼 어종교류 등 생태계의 단절을 불러왔다.

하지만 앞으로 잘 지키고 가꿔 나갈 경우 국내 자연생태형 하천 복원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와 주민들의 분석이다. 협의회는 동산면 6개리 이장과 새마을지도자 부녀회장, 북한강생명포럼 회원, 춘천전인자람학교 등이 중심이 됐다. 이들은 앞으로 중랑천 주민들과의 교류, 생태학습장 조성,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는 복안이다. 춘천시도 이에 발맞춰 팔미천을 생태하천으로 만드는 작업에 행·재정적인 지원을 모색하고 있다.

북한강 포럼은 춘천 팔미천을 시작으로 평창 오대천, 서울 중랑천, 경기도 용인 경안천, 가평 조중천 등 한강 상·하류 소하천을 중심으로 주민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실제 경기도 양주시에서 발원, 의정부시를 지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중랑천은 도심 속 소하천임에도 불구하고 오염된 수질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최근 물이 깨끗해지고 어종도 늘어나 주민들이 즐겨 찾는 새로운 명소로 변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한강 살리기에 발맞춰 한강 유역 5개 시·도도 잰걸음을 하고 있다.

도는 지난 10월22~23일 춘천 라데나콘도에서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충청북도 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생명의 물 한강 살리기'를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서 도보건환경연구원 박성빈 수질환경과장은 '강원도 상류 수계의 수질오염 실태'란 발제를 통해 “도심생활하수와 농경지에서의 화학물질·비료 농약 등 유기질 성분, 산림에서의 부식물질 방출이 하천 오염의 주원인이다”며 대책으로 고도처리시설 설치와 하수관로 정비, 생태습지 조성, 솎아베기 등을 꼽았다.

한국정책평가연구원 장기복 박사는 '한강수계관리기금의 운영 효율화 방향'이란 주제발표에서 “관리청별로 일반지원에 대한 종합계획 없이 단기성 마을단위 사업 중심으로 추진돼 지역주민들이 사업비를 지역사회의 장기적 발전기금이 아닌 개인 몫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초래됐다”고 지적했다.

한강수계기금은 하류지역에서 부과·징수한 물 이용부담금을 수질개선 목적의 규제를 받고 있는 상류지역에 지원하는 제도다.

장 박사는 이어 “연간 3,000개가 넘는 소규모 일회성 소모사업 위주로 추진돼 수질개선과 지역주민 소득증대·복지에 기여한 효과를 계량화하기 곤란하다”며 “기금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기금운영의 원칙 및 기준 정립과 수질보전 효과가 높은 사업 투자 확대”를 개선방향으로 제시했다.

한강유역 5개 시·도는 2007년부터 공동 워크숍과 함께 한강을 살리고 가꾸고 지키는 '한강살가지운동'과 탐사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5개 시·도는 지금까지 공동사업의 이해와 협력을 기반으로 '유역협의체 구성' 및 '한강문화제' 등 지속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동안 강과 하천관리는 수질과 수량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앞으로는 자연과 사람, 역사, 문화를 모두 아우르는 문명 문화 개념으로 넓혀 나가야 하는 것이 정부와 지자체의 과제다. 이를 위해서는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 중심의 물관리 정책에서 탈피해 발원지부터 하류까지 통합하는 정부정책과 네트워크가 절실하다.

김석만기자 smkim@kwnews.co.kr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원을 받습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