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강릉지역에서 집회·시위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강릉경찰서에 따르면 올 들어 27일 현재까지 강릉에서 있었던 집회·시위 건수는 8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건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물연대 총파업, 광우병 촛불집회, 원주∼강릉 복선전철 추진 집회 등 전국적인 흐름도 작용했으나 중앙시장 노점상 집회, 연곡면 전파관리소 민원, 골프장추진 반대 집회 등 민원제기 때마다 집회·시위까지 가지 않고 사전에 주민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절차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정·여찬리 주민들의 골프장 반대 집회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시에서는 대안 제시 또는 주민 설명 등 주민들을 이해시키기 위한 절차를 밟지 않고 있어 집회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주민과 시 관계자 모두 지쳐가고 있는 상황이다.
한 집회참가자는 “사업실행이라는 이미 정해진 큰 틀 속에서 모든 일이 추진되다 보니 이제는 공무원들도 대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했다.
공무원들의 민원처리 방식도 논란이 되고 있다.
옥계면 주민들은 소나무 굴취에 반대하며 시에 주민동의 없이 굴취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키라고 했으나 결국 시에서 소나무 굴취를 허가해 주민들과 조경업자 간 몸싸움이 벌어졌다.
리조트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업자들은 악덕기업에 대해 시에서 제재하지 않는다며 시를 찾아갔지만 ‘왜 이제 와서 시를 걸고 넘어지느냐’는 직원의 말을 듣고 돌아와야 했다.
시 관계자는 “몇 건의 실수가 발생할 수 있는 점은 인정한다”며 “민원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사전에 대화하고 눈높이에 맞춘 행정을 펼치겠다”고 했다.
강릉=최영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