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화 위기에 놓인 설악동을 국립공원구역에서 아예 제척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설악동번영회, 재개발비상대책위원회, 숙박협회, 상가연합회 등은 지난 20일 이명박 대통령 앞으로 보낸 탄원서를 통해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B·C집단시설지구를 주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정부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지지부진한 재정비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환경 영향 족쇄를 푸는 길밖에 달리 방법이 없다는 이유에서다.그동안 추진됐던 장밋빛 청사진이 하나 같이 무력화돼 설악동 경쟁력이 바닥으로 떨어진 것도 따지고 보면 이런저런 규제의 벽을 넘지 못해 빚어진 결과라는 것이다.이는 도와 속초시도 같은 생각이어서 향후 환경부가 입안 중인 자연공원 제도개선에 이를 어떻게 반영할지 주목된다.
사실 설악동 재정비 사업은 지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지만 4년이 다 되도록 탁상공론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여태까지 진척된 것이라고는 개발 열쇠를 쥔 환경부와의 의견 조율 시도가 고작일 뿐이다.그나마 이 또한 환경 영향을 둘러싼 견해차가 워낙 극명해 성과가 없기는 마찬가지다.10년 전(1998년)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면서 역풍을 맞아 가뜩이나 어려웠던 단지 내 상가·숙박시설 70% 이상이 휴·폐업해 일반 관광지보다도 못한 극심한 침체에 허덕이고 있는데도 이렇다 할 대책 없이 버려져 있는 상태다.정작 해야 하는 조치는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원성만 키워왔다.
아무튼 한때 우리나라 대표 관광지로 명성을 얻었던 설악권의 침체를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활성화 대책마련이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얘기다.현재 설악동 사정은 당장 모든 규제를 없앤다 해도 필요한 행정절차를 감안하면 개발 지연이 불가피하다.그만큼 낙후 상황 개선이 절박하다.개발이 곧 환경파괴라는 편협된 등식에 묶여 있는 한 설악동에는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한다.정부 당국의 인식 재고와 용단을 거듭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