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신중년 일자리에 주목하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박윤미 강원자치도의원

우리는 종종 우려 섞인 목소리로 초고령사회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 감소, 청년이 떠난 지방의 문제점을 이야기한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25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3%에 달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고령화 추세는 전 세계적 현상이지만, 우리나라는 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률이라는 두드러지는 문제가 있다. 보건복지부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이 자살을 생각하는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이 23.0%로 건강 23.7%에 이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결국 노인 세대의 빈곤과 자살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상황에 강원자치도 차원에서 노년기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근본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신중년’ 세대에 특화된 일자리 정책의 설계를 제안한다.

‘신중년’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재취업 일자리 등에 종사하며 노후를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로, 부모와 자녀 세대에 대한 부양의무를 동시에 짊어지고 있다. 그들이 가구 소득의 89.4%를 근로·사업 소득에 의존하다 보니 신중년 세대 일자리 안정성이 전 세대의 경제적 지속과 안위를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주된 일자리 평균 퇴직 연령은 2023년 5월 기준 49.4세다. 대부분 50세가 돼서 재취업을 하게 되면 평균적으로 37.3% 낮은 임금을 받고 주된 일자리와 약 60% 정도만 직무 관련성이 있는 업종에 종사하게 된다.

청년부터 업무를 익혀 그 전문성이 무르익었지만, 주된 일자리 퇴직으로 인해 활용할 수 없고, 오히려 전보다 낮은 임금으로 부양의무와 노후 대비를 해 나가야 한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큰 손실이며, 개인으로서도 노후 대비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것이다.

신중년 세대는 2026년 전체 인구의 32.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돼 앞으로 노동인구의 다수를 이룰 것이다. 노동시장 고령화 대비를 위해서도 신중년 일자리 정책에 대한 중요성은 무시할 수 없다.

신중년 세대가 가진 업무 전문성과 인재가 필요한 지역 산업을 연계해 교육부터 취업까지 신중년을 재성장시키고, 결과적으로 그들의 정주를 이뤄낼 수 있는 지원 정책이 시행된다면, 중장기적으로 노인 빈곤 문제는 물론 지역소멸까지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희망을 품어본다.

이미 많은 지자체에서 신중년을 대상으로 지역의 현실을 반영하는 정책이 시작됐다. 경기도는 40세 이상 65세 미만 도민을 대상으로 직업교육훈련에서 일자리 연계까지 아우르는 ‘신중년 일자리 센터’를 2022년에 개소했다. 또한 행안부는 2022년 신중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광명시, 익산시, 서울 동작구, 인천광역시를 선정하고 통합공간 조성 사업을 진행해 신중년의 재취업을 지역 실정과 연계해 꾸려 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강원도는 신중년 일자리 센터는 물론 우리 지역의 특화된 신중년 일자리 지원 사업을 찾기 힘들다. 정부 주도의 정책이 아닌, 우리의 실정과 특색이 반영된 강원도의 특화된 신중년 정책이 절실하다. 신중년의 일자리는 새로운 노동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제2의 인생, 아름다운 노년을 준비하기 위해 신중년의 일자리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기 때문이다. 이제라도 우리 도는 소외됐던 신중년 일자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일 때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