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언

[언중언] 물가가 보내는 신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고통지수’는 기상학의 불쾌지수를 응용해 개발한 경제지표다. 특정 기간의 실업률에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더해 구해지는 고통지수는 피부로 체감하는 삶의 질이 중시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고통지수를 줄이려면 실업률을 낮추고 물가를 안정시켜야 한다. 실업률 감소는 부작용이 수반될 여지가 별로 없지만 물가 안정은 사정이 다르다. 이는 소비자의 강력한 지지를 받으므로 ‘과잉’으로 치닫기 쉽다. ‘기업의 팔’은 으레 비틀리게 돼 있다. 기업의 고통이 문제의 전부가 아니다. 정부가 가격으로 시장에 개입하면 ‘시장(市場)의 교란’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는 물가 안정을 해치게 된다. ▼가격은 하나의 시그널이다. 가격 상승은 국민에게 소비를 줄이라는, 기업에는 투자와 공급을 늘리라는 신호다. 기업이 가격을 함부로 책정하지 못하는 이유다. 이익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팔 비틀어 떨어진들 일시적이며, 나중에는 폭등한다는 건 경제학의 오랜 가르침이다. ▼정부가 한번 시장가격에 관여하기 시작하면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들듯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시장이 불신을 받는다고 이에 개입하면 할수록 더 큰 사회 혼란을 불러온다는 얘기다. 시장경제가 굴러가는 것은 시장이 모든 것을 완전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릇된 예측에 따른 결과를 스스로 바로잡아가는 능력이 있어서다. ▼기름 값이 다시 오르면서 6개월 만에 2%대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또 3%대로 뛸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의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첫째 주(4~8일) 도내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16.54원 인상된 ℓ당 1,610.10원으로 집계됐다. 휘발유 값이 1,600원을 넘긴 것은 지난해 12월 넷째 주 이후 6주 만이다. 불안한 기름 값이 가까스로 안정된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그렇다고 당국이 너무 ‘오버’해서는 안 된다. 시장가격이 언제나 옳진 않지만 형성된 가격을 억지로 깎거나 훼손하면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