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캠핑족들의 무분별한 쓰레기 투기로 도심 속 공원과 산책로가 몸살을 앓고 있다. 버려진 쓰레기가 장기간 방치되며 시민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지만 지자체는 계도 및 단속에 손을 놓고 있다.
지난 4일 춘천시 삼천동 강원국악예술회관과 옛 중도배터 사이에 펼쳐진 춘천수변공원. 30여 대의 차량들이 캠핑과 차박을 즐기기 위해 일렬로 주차돼 있었다. 이곳은 평소에 시민 휴식공간과 각종 문화행사장으로 활용되는 장소로 야영과 취사가 엄격히 금지된 곳이다.
하지만 의암호가 훤히 내려다보이고 주변에 편의점과 화장실을 비롯한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어 캠핑족들의 명소로 꼽힌다. 공원 한 곳에 ‘야영·취사 금지’ 문구가 적혀 있는 안내판을 무시한 채 모닥불을 피워 고기를 굽고 술을 마시는 캠핑족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공원 바닥과 주변 산책로에는 이들이 버린 플라스틱 컵·그릇, 과일 껍질, 라면 찌꺼기 등 각종 쓰레기가 방치되며 악취를 풍기고 있었다. 이날 춘천수변공원과 고구마섬 일대 800m 산책로에서는 캠핑족과 낚시객들이 남기고 간 쓰레기가 곳곳에서 눈에 띄였다.
이준협(52·춘천시 석사동)씨는 “산책로를 따라 운동할 때마다 음식물 쓰레기 냄새가 코를 찔러 다른 곳으로 돌아가기도 한다”며 “산책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큰데 지자체가 단속을 하지 않아 답답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원주 부론면 흥호리 일대의 오토캠핑장, 강릉 송정해변·사천해변 주변 소나무숲 산책로에도 캠핑족들이 무단으로 투기한 쓰레기가 곳곳에서 목격돼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하지만 지자체는 시민들의 민원이 접수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단속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관계자는 “주기적인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캠핑 금지를 알리는 대형 현수막을 게시하겠다”며 “시민들의 민원이 접수될 때마다 현장 계도와 단속을 더욱 강화해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