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은 민간 일자리가 부족하고 평균 임금도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속적인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이 필요한 강원특별자치도다.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처음 발표한 BOK 강원경제 메모 ‘강원지역 기초자치단체별 민간 일자리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대비 경제활동인구(2023년 5월 기준) 중 강원지역 민간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37.4%다. 이는 17개 시·도 평균인 45.4%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권인 16위다. 도내 민간 일자리의 평균 임금도 262만원(사업장가입자 평균소득월액, 2023년 5월 기준)으로 전국에서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민간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저임금의 일자리는 불안정한 취업, 저임금에 대한 불만, 노동시장 퇴장이라는 악순환을 낳기 때문이다.
민간 일자리 창출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 유치다. 공공 일자리는 일시적일 뿐 아니라 청년 일자리 창출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청년들이 바라는 일자리는 대부분 민간기업에서 나온다. 도내 청년층이 급감하는 것도 괜찮은 직장을 구하기 어려운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지자체를 향해 기업 유치를 통해 좋은 민간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물론 대부분의 시·군이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경기도 살리기 위해서다. 하지만 문제는 바이오·헬스, 반도체, 탄소중립 등과 관련된 미래산업 위주의 기업들을 유치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여건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업들이 주로 수도권이나 충청권을 선호하는 것도 정주 여건과 풍부한 인적 자원 때문이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강원특별법을 활용한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를 비롯해 각 시·군은 민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을 가다듬어야 한다. 이전의 정책과는 달라져야 할 것이다. 강원특별법을 활용해 기업 규제부터 확 풀어야 한다.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책은 기업의 조기 투자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지역경제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 더 많은 기업을 불러오고 양질의 민간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경제의 성장엔진에 불을 붙여야 할 것이다. 산업단지 조성→기업 유치→일자리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도 확립돼야 한다. 또한 대학과 기업의 연계성 없이 청년 일자리 창출은 불가능하다. 지역대학의 맞춤형 인재 육성이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지자체와 대학이 힘을 모아야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