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지역은 소통과 협력으로 상생해야 한다. 원주혁신도시에는 13개 공공기관이 입주해 있다. 그동안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이제는 상생의 실천으로 ‘경제 효과’를 내야 할 때다. 이를 토대로 국가 균형발전을 이뤄야 한다. 수도권 집중화가 가속화돼 2020년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초월했다. 서울과 수도권은 자본과 기술, 사람이 모두 편중돼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는 반면, 지방은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중앙정부 주도의 압축성장 전략이 한계에 직면함에 따라 더 늦기 전에 중앙과 지방 간의 국가 균형발전의 기틀을 바로잡아야 한다.
혁신도시 정책은 수도권 공공기관을 이전해 혁신주도형 경제의 지역 거점을 형성하고 수도권과 지방 간 불균형 해소 및 지역의 특색 있는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대도시에 비해 교육, 의료 등 정주를 위한 기반시설과 자급자족 기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정주여건 개선, 임직원 정착 및 관련 기업과 시설 이전 등 상생 발전과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지역 주체 간의 협력을 통한 혁신역량 결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원강수 원주시장이 최근 황규연 한국광해광업공단 사장 등을 만나 간담회를 한 것은 긍정적이다. 원주시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잇따라 자리를 마련, 상호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광해광업공단과의 첫 소통 자리에서 원 시장은 “중소기업 동반성장 협력 사업에 광해광업공단도 적극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중소기업 동반성장 협력 사업은 공공기관이 예탁금을 조성해 고금리에 고통받는 중소기업의 대출 이자 일부를 지원해 주는 것이 핵심이다. 이와 함께 시민을 위해 공공기관 주차장 주말 개방을 당부했다.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은 작은 것에서부터 지역과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래야 주민들도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에 관심과 애착을 갖게 된다. 그리고 원주시는 강원도 발전을 선도하는 위치에 있는 만큼 이에 대해 공공기관들에게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혁신도시를 꼼꼼하게 준비했다고 하더라도 이전 효과가 낮다는 것은 미흡하다는 것일 수도 있다. 혁신도시의 낮은 이전 효과에 대해 잘 따져봐야 한다. 부족하다면 계획을 보완하고 현실에 맞게 수정해야 한다. 혁신도시 주변 인프라도 정비해 정주여건을 높여야 할 것이다. 공공기관들이 지역과 더불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