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소비자물가 2%대, 장바구니 물가는 그냥 놔둘 텐가

올 6월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올랐다.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9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도민들이 체감하는 실생활 물가는 딴판이다. 공식 통계 다르고 체감 물가 다른 탓이다. 직접 물건을 구입하는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소매점에서 생필품 가격은 여전히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사이트 참가격 데이터를 통해 7월 기준 도내 유통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생필품 213개 가격을 확인한 결과 182개 품목 가격이 2년 전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상승률은 25.31%였다. 마트에서 판매되는 생필품 10개 중 8개 가격이 2년 전보다 크게 오른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고 해도 마트에서 장을 보면 전혀 동의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와 실제 소비자물가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조사 품목 구성과 가중치 때문이다. 소비자물가는 모든 상품의 가격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가계소비에서 지출 비중이 큰 481개 품목을 선정,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를 평균해 지수를 내는 식으로 작성된다. 문제는 당분간 높은 수준의 소비자 체감 물가가 이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정부에서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이달까지 둔화 흐름을 이어 가겠으나 이후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에서 등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우선 3분기 동결됐던 전기·가스요금이 4분기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 11일부터 고속·시외버스 요금이 오른 가운데 택시요금 역시 인상을 준비 중이다. 먹거리 물가인 가공식품, 외식물가 상승률 또한 지난달 각각 7.19%, 6.75%를 기록하는 등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웃돌고 있다. 먹고사는 것과 관련된 실생활 품목들도 줄줄이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가 물가 상승률만 믿고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상황은 너무 경시하는 것은 아닌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물가의 비교 기간이 1년 전임을 감안하면 아무리 통계상 수치가 떨어졌다고 한들 지난해 5~6%대로 이미 물가가 크게 올랐던 상황에서 현실적인 하락을 피부로 느끼기엔 힘들 수밖에 없다. 정부는 최근 소주, 맥주, 라면 관련 민간 기업을 압박해 각종 제품 출고가를 낮췄다. 물가 불안은 기업의 탐욕이 아니라 정부의 재정·통화정책에서 비롯된다. 고물가 시대 그늘이 더 짙어지지 않도록 비상등을 켜야 한다. 물가 하락을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정책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는 근원적인 처방이 필요하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