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춘천시농촌인구리포트]터전 버리고 도시로…빈 자리는 귀촌인이 채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춘천시 인구 30만 달성까지 9,000명 필요…농촌 인구 흐름 파악 나서
토착민 도시로 떠난 자리 귀촌인이 채우지만 유입 감소세

[춘천시농촌인구리포트] (上) 농산촌 소멸 가속화

춘천시가 특례시 지위를 얻을 수 있는 인구 30만명 선에 도달하기까지 남은 인구는 지난달 기준 9,077명이다. 대학생과 귀촌인 등을 유치하기 위한 폭넓은 지원이 펼쳐지고 있지만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인구 증감 요인에 대한 분석이다.

전방위 인구 정책 점검에 나선 시는 지난달 1개 읍, 9개 면을 대상으로 ‘농촌지역 인구 이동 현황 조사’를 처음 실시했다. 강원일보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읍·면별 인구 이동 흐름을 분석했다. 사실상 동의 성격을 띄는 동내면과 동면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토착민 떠나고 귀촌인이 채워=북한강을 끼고 남춘천IC와 인접한 남산면은 지난해 12월 인구가 3,387명으로 1월 3,428명보다 41명 줄었지만 귀촌 인구는 49명이 늘었다. 인구 감소 원인은 춘천 내에서의 이동이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139명이 타 읍·면·동으로 흩어졌다.

범위를 8개 읍·면으로 넓혀도 상황은 같다. 지난해 타 시·도에서 전입한 귀촌 인구는 962명, 반대로 타 시·도로 돌아간 사람은 803명으로 순유입은 159명이다.

반면 춘천 내 이동은 전입 1,131명, 전출 1,345명으로 214명이 순유출됐다. 농산촌 인구가 도심으로 흩어지고 이를 귀촌인이 메우고 있는 형국이다.

■귀농귀촌 의존 한계=하지만 2018년 1,207명이던 타 시·도 전입 인구가 지난해 962명까지 내려 앉으면서 농산촌 인구 방어를 귀농귀촌에만 의존할 수 없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실제 2018년 12월 기준 8개 읍·면 인구는 2만4,520명이었지만 지난해 12월 2만2,975명까지 떨어져 5년 간 1,545명이 감소했다. 지난해 전입 인구가 전출 인구를 앞지른 곳은 동산면, 남면, 북산면 뿐으로 이마저도 10~20명 안팎의 격차가 날 뿐이다. 타 시·군에서의 인구 유입도 미미해 5년 간 전입 1,234명, 전출 1,163명으로 71명이 늘었다.

시 관계자는 “자연 감소와 귀농귀촌, 도시로의 이동을 세밀하게 분석해 읍·면별로 인구 유입 가능성에 따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겠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