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강원도 “플라이강원 더이상 대규모 현금 지원 없다”…인프라 등 체질개선은 지원 계속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道·양양군 2026년까지 플라이강원 인프라 확충 307억 지원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 현금 지원 없다는 입장 명확
플라이강원 실제 이전 가능성 떨어지지만, 불씨는 남아

속보=강원도가 플라이강원에 대해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의 대규모 현금성 지원은 없다는 입장(본보 지난 10일자 2면 보도)을 확고히 하고 있다.

다만 사업다각화를 돕기 위해 2026년까지 화물터미널 및 항공인프라 확충에 300억원 이상을 지원한다.

강원도는 오는 2026년까지 양양국제공항 화물터미널 건립 등 공항 인프라 확충을 위해 지방소멸기금 267억원과 양양군비 40억원 등 총 307억원을 지원한다. 지난해 하반기에도 사업비가 일부 투입됐다. 플라이강원은 지난해 항공화물운송면허를 취득했으며 최근 도입한 중대형 항공기의 대만, 베트남 2년치 항공화물 운송계약이 완판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도는 플라이강원의 화물운송을 통한 수익 다각화, 인프라 확충 등 체질개선에 대한 지원에 주력한다는 것이 방침이다. 그러나 이전처럼 3년간 운항장려금·손실지원금 144억9,000만원을 현금으로 선지급하는 등의 특별대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강원도는 올해 플라이강원의 운항장려금으로 예년의 5분의 1수준인 12억원을 책정했으며 이는 전국 평균 수준에 맞춘 것이라고 밝혔다.

17일 정광열 강원도 경제부지사와 김진하 양양군수, 주원석 플라이강원 대표가 양양군청에서 면담할 계획이지만 강원도는 당장의 출구전략을 모색하기보다는 이같은 방침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우려와 달리 플라이강원 이전 가능성도 현재로서는 크지 않아 보인다. 주원석 플라이강원 대표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플라이강원이 양양을 떠날 경우 큰 손해를 입게 된다” 며 “강원도로부터 받은 재정지원은 도민 이용객 10% 할인 등의 주민 혜택, 교통 편의 개선이나 타 공항에 비해 다소 비싼 유류비 등에 써왔다”고 밝혔다.

주 대표는 플라이강원의 주식 중 43% 이상을 직간접적으로 소유한 최대 주주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주주가 타 공항 이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만큼 당분간 강원도와 플라이강원간 갈등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전망이다. 다만 항공시장이 여전히 불황인데다 경영이 더 악화될 경우 모기지 이전, 매각 등의 이슈가 또 다시 불거질 여지는 남아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