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지-캠프페이지 장단점
인수위 업무보고서 상세히 전달
이달 말까지 재검증 과정 거쳐
강원도가 6월 착수 예정이었던 강원도청사 건립용역을 잠정 중단했다. 김진태 도지사 당선인의 도청사 신축 이전 재검토 방침에 따른 것이다.
다만 강원도 현 집행부는 13일부터 시작된 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캠프페이지 부지의 장단점을 상세히 보고하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우회적으로 건의했다.
강원도는 당초 이달부터 내년 6월까지 4억원을 투입해 착수 예정이던 ‘도청사 건립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최종 계약 단계에서 일시 중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새 도정의 도청사 신축 방침이 구체화되면 다시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강원도가 검토했던 캠프페이지와 현 청사 부지 신축 시 효과와 과제 등에 대한 인수위 보고도 이뤄졌다.
이날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박천수도 기획조정실장은 “현 부지 신축 시 갈등이 최소화될 수 있고 또 역사적인 상징성, 기존 상권 보호 등의 장점이 있으나 2번의 이사로 700억원의 매몰비용이 발생하고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했다. 캠프페이지 이전에 대해서는 “매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데다 춘천역과 연계한 확장성이 좋고 주말 1,400면 정도의 주차장을 주민들에게 개방할 수 있지만 주중에는 교통체증의 우려도 있다”면서 “부지가 협소하다는 지적이 있으나 당선인의 공약인 2청사 건립 시 본청 규모가 줄고 300여명이 근무하는 소방본부도 별도 청사로 독립한다는 점을 면밀히 검토해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당선인의 재검토 계획에 따라 용역 등 행정 절차를 중단했지만 캠프페이지도 후보지에 포함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건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수위원들은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하면서 이달 말까지 재검증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조만간 인수위 차원에서 보다 구체적인 계획이 나올 전망이다.
이날 기획조정실은 당선인 공약인 영동지역 도청 제2청사 건립 계획도 보고했다. 현행 지방자치법상 도청 2청사는 부지사를 3명 둘 수 있는 인구 800만 이상의 서울과 경기도만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강원도는 경남도(창원, 진주)와 경북도(안동, 포항)의 이원화 모델을 사례로 검토했으며 조직개편 후 규모와 사업비, 부지 위치 등을 정할 방침이다.
최기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