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내주부터 2주간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확정했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사적모임 최대인원을 10명으로 2명 더 늘리고,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제한 시간을 자정까지로 1시간 연장하는 거리두기 조정안을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발표했다.
정부가 이번에도 '소폭 조정'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아직 유행을 증폭할 위험요인이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현재 전파력이 센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국내 우세종이 됐고, 코로나19 중환자는 연일 최다치를 경신하는 등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 폐지를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나선데다,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 구간을 지났고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영업시간제한 해제 요구가 거센 만큼, 다음 조정에서는 거리두기 '완전 해제'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큰 의미가 없어진 상황에서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면 거리두기는 사실상 폐지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오는 18일 계획대로 다시 거리두기가 해제되면 약 반년 만에 다시 '일상회복'을 시도하게 되는 셈이다.
다만 일상회복을 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과제가 많다. 특히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급증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의료체계를 정비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실제 확진자 수는 최근 완만한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위중증 환자는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사망자도 연일 300∼400명씩 쏟아지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수도 28만273명으로 전날보다 4만여명 줄었으나 위중증 환자는 1천299명, 사망자는 360명을 기록했다.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 대유행의 출구를 조심스럽게 모색하면서도 전례없는 수준의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를 감당해야 하는 엄중한 상황에 놓인 셈이다.
정부는 의료체계 역시 '일상체계'로 점차 전환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도 독감 환자처럼 모든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게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앞서 입원 치료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격리병상이 아닌 일반병상에서 계속 치료받도록 허용한데 이어, 코로나19 확진자도 동네 병·의원에서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외래진료센터'를 확충하고 있다.
또 위중증 진행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경구용(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를 확보하고, 처방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날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회의에서 "코로나19 유행이 감소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지만 BA.2 변이(스텔스 오미크론)의 우세종화 등을 고려하면 확진자 발생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위중증·사망률 최소화를 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지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