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겸 국무총리는 25일 다음 달부터는 확진자의 가족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수동감시 체제로 전환해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이 언제일지 궁금하실 텐데, 많은 전문가가 3월 중순경으로 추측하고 있다"며 "정점에 달했을 때 일일 신규 확진자 규모는 25만명 내외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분명한 것은 정점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며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지금까지 비슷한 상황에 처했던 다른 나라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위중증 환자 수, 사망자 수, 병상 가동률 등 핵심 방역지표는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의료, 교통, 교육, 치안 등 사회 필수기능도 흔들림 없이 작동하고 있다"며 감사를 표했다.
김 총리는 또 다음 달부터는 확진자의 가족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수동감시 체제로 전환해 관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제까지는 백신 접종완료자에 한해 수동감시를 했고, 미접종자의 경우 7일간 격리를 했으나 확진자의 동거인을 일일이 파악해 예방접종 이력을 확인, 격리 여부를 결정·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이 보건소 등 의료인력에 너무 많은 부담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 모두 수동감시를 적용하기로 했다는 게 김 총리의 설명이다.
김 총리는 수동감시를 하더라도 감염확산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학생들의 경우 다음 주로 다가온 개학과 관련해 "안전 확인을 위해 모든 학생에게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제공하고 확진자 발생시 학교에서 직접 역학조사를 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동형 현장 PCR을 도입해 검사의 신속성을 높일 것"이라며 "오미크론의 파고가 아무리 거세도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의 학습권과 건강권은 우선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