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 조성 내년 2월 본격 착공
수원확보·기후 데이터 인프라 구축 물부족·미세먼지 대응
강원도가 접경지 5개 지역을 국내 기후변화 대응의 거점기지로 삼는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로 조성한다.
도에 따르면 기후·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 그린도시를 구축하기로 하고 환경부와 강원도가 공동으로 추진에 들어갔다.
강원생태변화 기후탄력벨트란 국내 최북단이라는 특수성을 활용해 강수량 감소로 인한 물 부족, 한파 증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한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곡창지대인 철원은 2030년 2,000만톤의 농업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지난해 수해로 220여가구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극심한 기후 양극화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등 각 지역별 한 곳씩 총 500톤 규모의 빗물 재이용 시설과 지하수 수원확보 시스템을 조성한다. 또 접경지 10곳에 AWS(자동기상관측장비)+자동대기측정소를 확충해 기후데이터를 대폭 보강하게 된다.
ICT를 이용한 실시간 접경지 재난통합관제 및 기후정보 알림시스템도 갖추고 기후변화 교육센터도 함께 건립할 방침이다.
도는 도는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 300여명의 신규 고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용창출 효과까지 나타나는 셈이다. 사업비는 국비 60억원을 포함해 총 100억원이다. 현재 실시설계가 진행 중이며 내년 2월본격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양섭 강원도 자연공원담당은 “접경지는 지역소멸 위기와 함께 강수량 감소로 인한 물 부족, 미세먼지 증가, 평균기온 상승, 한파일수 증가 등 기후 위기에도 직면해 있다”며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는 기후변화에 대한 주민 적응력을 높이고 스마트 대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도와 5개 기초지자체가 협업한 전국 최초의 모델”이라고 밝혔다.
최기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