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협 성명 채택 "건립 추진·운영 주체인 강원도 답변해야"
강원도 "당위성 인식 의견수렴중…선택과 집중 적극 나설 것"
올해 새롭게 출범한 제25대 강원도미술협회는 주요 역점사업으로 '도립미술관 건립’을 꼽았다. 협회 창립 60주년을 앞두고 강원미술사 집대성을 향한 물리적 장(場)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도미술협회는 올 7월 원주 치악예술관에서 협회 소속 11개 시·군 지부장들과 이와 관련한 성명서를 채택,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1998년 정부의 1도 1미술관 건립 지원사업 추진에서 마지막까지 남은 광역지자체는 강원도”라며 “도립미술관 건립사업 추진 및 운영 주체인 강원도가 이에 대해 답변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회를 비롯한 도내 예술단체는 추진 과정과 운영에 필요한 행정의 역할을 대신할 수 없다는 의미다.
■건립지 선정부터 해결해야=2006년 건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된 이후 도립미술관에 대한 가장 큰 이슈는 ‘건립지 선정’이었다.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도는 ‘건립지’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각 시·군 협회 및 지자체의 협의를 요구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립미술관 건립의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고, 리스트업을 해놓고 있다. 현재로서는 건립지 선정에 앞서 지속적으로 도내 미술계 등 문화계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복합문화센터 건립이 정부의 투자심사에서 부결되는 등 난제도 많다. 선택과 집중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도내 문화예술계는 더 이상 ‘건립지 선정 권한’을 민간에 떠맡기지 말고 행정에서 매듭짓기를 바라고 있다. 도립미술관은 ‘공립’으로 법적으로도 ‘관’이 주도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지역 문화계 관계자는 “도가 건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다면 우리 또한 언제든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며 “공모 등 사업 추진에 필요한 부분마다 전문가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힘을 모을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강원 문화유산 승계의 인식 전환=도립미술관은 전시공간을 넘어서 도서관과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결합, 수행한다. 여기에 지역에서 활동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구입·연구·보존해 방대한 자료를 아카이브하는 역할도 갖고 있다. 지역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내 작품을 지역에 하나 남길 수 없을 것이란 생각에 죽기 전에 모든 작품을 태워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는 자조 섞인 농담도 나오고 있다.
2009년 당시 강원도가 세운 도립미술관 예산은 300억원이었으나 이제는 그 이상이 필요하다. 2024년 건립 예정인 충남도립미술관의 사업비가 총 933억원이라는 점이 더 늦어져서는 안 되는 이유다.
이재한 도예총 회장은 “도는 문화예술계가 직접 결정해 달라는 무책임한 태도에서 벗어나 서로 머리를 맞대는 전향적인 자세로 바꿔야 한다”며 “15년째 표류 중인 도립미술관 문제 하나 처리하지 못하는 문화행정은 더 이상 비전을 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수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