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문 대통령 총선 100일 앞두고 비서실 조직개편 인적교체

靑 디지털혁신비서관 신설, 기획ㆍ경제정책 조정기능 강화

그래픽=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총선을 100일 앞둔 6일 비서실 조직개편 및 인적교체 카드를 꺼내 들었다.

청와대는 6일 문 대통령이 4·15 총선에 출마할 참모들을 교체하고 기획과 경제정책 조정기능 강화 차원에서 디지털혁신비서관을 신설하는 등 청와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인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윤건영 국정기획상황실장이 청와대를 떠났다는 점이다. 윤 실장은 4월 총선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지역구인 서울 구로을 출마가 유력하게 점쳐진다.

윤 실장이 맡았던 기획·상황 업무의 경우 두 파트로 분리됐다.

오종식 연설기획비서관이 '기획비서관'으로 새로 임명되며 기획 업무를 전담하고, 국정상황실장으로는 이진석 정책조정비서관이 맡게 됐다.

이번 개편에서 연설기획비서관을 기획비서관으로 재편하며 국정기조 수립·기획, 메시지 기획을 전담케 했다. 기획 전담 비서관을 둔다는 것은 임기후반 국정 아젠다 기획에 한층 힘을 싣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히 경제 분야에 무게를 실은 것도 특징이다.

우선 정책조정 기능을 이준협 일자리기획비서관이 맡게 되면서 명칭을 일자리기획·조정비서관으로 바꿨다. 각 분야 정책 조정 과정에서 일자리 문제가 고려될 여지가 넓어진 셈이다.

또 디지털혁신 비서관을 신설해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로 한 점 등도 주목된다.

나아가 문 대통령이 각별히 신경 쓰고 있는 교통·산재·자살·어린이 사고 등에서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민생활안전 담당관'을 새로 두기로 했고,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담당관도 신설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추가적인 조직개편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비어있는 자리를 채우는 인사나 조금의 조정 등은 있을 수 있다. 이는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총선에 나가기 위한 공직자 사퇴시한은 16일이다.

이규호 기자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