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악한 강원도 내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시민사회가 협력할 수 있는 유기적인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7일 오전 춘천 세종호텔에서 열린 '강원도 공공보건의료기관장 협의체 구축 간담회'에서 조희숙 강원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은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필수의료 협의체를 구성하고 협력 모형을 마련해 중증응급환자의 효과적 이송 방안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태형 원주의료원장은 이 자리에서 “강원도 내 대부분의 의료원이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심각한 의사와 간호사 부족 사태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제한 후 “의료인력 수급 방안에 대해 강원도 차원에서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윤성 삼척의료원 지역응급의료센터장은 “공공의료를 담당하는 조직끼리 소통이 안 되는 경우도 많다”며 “기관 사이의 소통이 중증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만큼 시스템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안무업 강원도 만성질환 원격관리센터장은 “선진국에서 도입되고 있는 건강 인센티브제 등을 한국 실정에 맞게 고찰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해 의료 접근권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행사에는 최병수 강원일보 상무이사를 비롯해 황병관 도 공공의료과장, 박희원 도재활병원장, 함수근 춘천시보건소장을 비롯한 공공의료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해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박서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