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2016년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유방암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여성 10만명당 62.6명으로 2014년 54.7명에 비해 14.4% 증가했다. 또한 2016년 암 진단을 받은 여성 10만9,112명 중 유방암 환자는 2만1,747명(19.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유방암은 유방 특성상 세포의 가짓수가 많아 암 종류도 다른 암에 비해 다양한 편이지만 유관과 유엽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경우가 대다수다. 특히 어머니나 자매 등 가족 중 한 사람이라도 유방암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더욱 높다고 보고 있다. 만약 어머니나 자매 중 한 명이 유방암을 경험했다면 일반인보다 유방암에 걸릴 가능성이 2~3배 많고, 어머니와 자매 모두가 유방암 환자일 때는 8~12배로 급증한다.
안타깝게도 유방암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그래도 가장 흔한 증상은 멍울이다. 멍울은 유방의 조직에서 자란 비정상적인 혹을 말하며 부위에 따라 단단하거나 부드러울 수 있다. 만약 단단하던 부위에서 더 두드러지게 멍울이 느껴지거나 평소 부드럽던 부위에서 단단함이 만져질 때는 종양을 의심해 봐야 한다.
유두에서 비정상적인 분비물이 나오는 것도 증상 중 하나다. 호르몬의 이상이나 약물복용 등으로 인해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분비물 색상이 짙은 갈색 또는 피색일 때는 암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유방 모양의 굴곡 변화와 유두 및 피부의 함몰, 피부 습진 등도 유방암의 증상들이다.
유방암 치료방법은 크게 수술과 비수술적 방법으로 나뉜다. 비수술적인 방법으로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 호르몬요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를 제외하고는 대개 이들 치료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완치율이 95% 이상인 암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월 자가 진단을 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35세 이후에는 2년 간격으로 전문의에게 임상 검진을, 40세 이후에는 1~2년 간격으로 전문의의 진찰과 유방검진 하는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