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 정상화 역행”<도교육청> vs “금수저 전형 폐지”<학부모·학생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도내 교육현장 정시 확대 정책 찬반 논란 거세

'도내 수험생에 불리' vs '수시는 공정성 해쳐' 맞서

지역 대학들도 입시 판도에 '연쇄효과 우려' 불만

속보=정부가 발표한 서울권 주요 15개 대학 정시모집 비율 확대(본보 10월31일자 4면 보도)와 관련해 도내 교육현장에서도 입장이 크게 엇갈리면서 찬반 논란이 거세다.

강원도교육청을 비롯한 일선 고교 등에서는 정시 확대가 대통령 공약인 고교학점제와 공교육 정상화에 역행한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수시 위주로 대학을 진학하는 도내 상황에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도내 한 고교 교장은 “이번 정시 확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이 고교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에 기여해 온 긍정적 측면을 철저히 배제한 것으로 보인다”며 “강원도의 경우 수시를 통해 대학을 진학하는 학생이 많고, 정시가 확대된다면 사실상 수도권과 지역 간의 교육 격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역 대학들도 서울권 주요 대학 정시모집 비율 확대가 '연쇄효과'를 일으켜 전국 대학의 입시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불만을 나타냈다.

반면 도내 많은 학부모와 학생은 수시전형이 '금수저 전형' 등으로 불리며 대입제도의 공정성을 해치는 만큼 '정시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고교 2학년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학생들의 대학 진학 문제는 한 사람의 인생이 걸린 문제인 만큼 합격과 불합격 기준이 명확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시험”이라고 말했다.

실제 최근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 수능 성적을 위주로 선발하는 정시 전형 확대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63.3%이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22.3%에 불과했다.

강원평화경제연구소는 지난달 31일 “정시 확대는 강원도 학생과 학부모, 입시 및 학교 교육에 대한 대혼란을 가져올 것”이라며 “도교육청은 정부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보다 차분하고 정확하게 정책의 방향을 주시해 새로운 입시제도 변화에 따른 실질적 대응책을 학교현장에 시급히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현정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