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도소방헬기 도입, 전액 국비 지원으로 서둘러야

신규 도소방헬기 도입 예산을 전액 국비로 지원해 줘야 한다. 지난 7월 광주에서 발생한 도소방헬기 추락사고는 국가적 재난인 세월호 수색작업을 지원하다 일어났다. 국비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도내에는 2대의 헬기가 있었으나 안타까운 사고로 양양 제2항공대 소속 헬기 1대가 남한 전체 면적의 16.8%에 해당하는 도 전체를 맡고 있다.

도는 면적의 81.7%가 산악지역이다. 수도권에 비해 대규모 의료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 외지관광객이 많아 항공구조 수요가 다른 시·도에 비해 2배 이상이다. 지난해 도내 항공구조구급대의 운항 횟수는 807회, 운항시간은 535시간으로 전국 최다였다. 구조인원도 619명으로 전국 항공구조·구급인원 2,777명의 22.3%에 달했다. 본격적인 가을 관광철을 맞아 산행을 즐기려는 인파가 몰려들고 있다. 사고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 헬기 1대로 적절한 구조시간을 지키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유사시 중앙본부에서 헬기를 지원받아 출동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험준한 산악지형에 직접 구조대원들이 투입되면 또 다른 안전문제가 돌출될 수 있다. 최대 폭설이 내린 지난 겨울과 같은 상황이 올해도 반복될 경우 더 큰일이다. 새로운 헬기 구입이 시급하다. 최문순 지사는 최근 안전행정부를 찾아 우선 소방헬기 임차비용 48억 원을 특별교부세로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통상 헬기 제작에 최소 2년 이상이 걸려 헬기 도입까지는 공백기간이 너무 길기 때문이다. 안행부는 이 같은 여건을 감안해 줘야 한다.

안개와 구름, 강풍 등 변화무쌍한 날씨 탓에 해마다 100여 일은 헬기가 태백산맥을 넘을 수 없다.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응급환자의 생사를 가르는 '골든타임'을 놓칠 수도 있다. 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새 헬기 도입에 230억 원이 소요된다. 안전한 강원도를 위해서는 내년부터 연차적인 국비 지원이 급선무다. 정부와 국회의 관심이 절실하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