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농산물 절도 범죄가 해마다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범인 검거율은 절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장마 피해에 이어 농작물 절도까지 겹치며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2일 춘천시 신동면 실래마을 금병산 등산로 입구. 비닐하우스 앞에는 ‘대추 따가지 마세요! 사유재산입니다. 경찰에 신고합니다’라는 문구의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10년째 대추농사를 짓는 함항균(67)씨는 매년 수확철마다 등산객들이 대추를 몰래 따가자 올해는 참다못해 경고현수막을 내걸었다. 함 씨는 “1kg씩 따가는 것도 문제지만 급하게 잡아뜯다 나무까지 상하게 하니 속이 터진다”며 “대추 농사는 통풍이 중요해 하우스 문을 닫거나 잠금장치를 달 수도 없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농산물 절도 범죄가 기승을 부리자 지자체는 물론 경찰도 지원에 나섰다.
당장 평창경찰서는 농산물 절도 예방과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지난달 20일부터 11월 초까지 경찰서 전면 주차장을 건조장으로 개방했다.
올해로 20년째 개방된 주차장에서 농민들이 벼와 고추, 쌀 등 농작물을 말리는 중이다.
실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이병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2021년~2024년)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농산물 절도 사건은 모두 130건이었지만 검거율은 51.5%(검거건수 67건)에 그쳤다.
이병진 의원은 “폭우 피해에 절도까지 겹쳐 농민들 이중고가 심각하다”며 “지역별 CCTV 확충과 맞춤형 예방대책을 통해 농촌 치안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