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천군의 주민등록 인구는 약 6만7,000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군부대 장병, 관광객, 각종 체험 프로그램 참가자, 귀촌 희망자 등을 모두 포함해 계산한 연간 생활인구는 무려 900만 명에 육박한다. 이 수치는 전국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한다. 생활인구는 행정상에 등록된 주민등록 인구가 아니라, 실제로 한 지역에서 생활하고 활동하는 사람 수를 뜻한다.
이처럼 실제 지역에서 체류하고 활동하는 생활인구와, 행정 기준상 주민등록 인구 사이에 존재하는 괴리는 행정서비스와 재정 지원, 사회기반시설 수급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심각한 불균형을 낳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철도 인프라의 부재’ 문제다.
홍천은 수도권에서 100㎞도 채 떨어지지 않은 지리적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도와 완전히 단절된 지역으로 남아 있다. 결국 자동차와 버스만이 유일한 교통수단이 되는 현실은, 과밀한 도로망과 잦은 교통사고, 장시간 이동에 따른 불편을 주민들이 감수해야 하는 불편한 일상이 돼 버렸다.
특히 여름 피서철이나 주말마다 수십만 명의 인파가 몰려드는 홍천강 일대를 떠올려 보면, 철도 없는 홍천이 교통 인프라의 사각지대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게다가 홍천은 군사시설이 밀집한 지역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어, 재난이나 응급상황 발생 시 수송력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이는 단순히 교통 편의성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에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이 같은 배경 속에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용문~홍천선’ 철도 개설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실적이고 정책적인 과제가 됐다.
용문역(경기도 양평군)은 이미 중앙선 KTX와 ITX가 정차하는 주요 역이다. 따라서 용문~홍천 구간이 연결된다면, 홍천은 명실상부한 ‘수도권 1시간 생활권’으로 편입되며 서울과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이는 단순한 교통 여건 개선에 그치지 않는다.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방소멸 대응 △국가 안보 및 군사 수송 효율성 확보 △관광객 유입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 △비상시 재난 대응력 강화 등 이 모든 정책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핵심 기반 인프라가 바로 ‘용문~홍천 광역철도’다.
정치권과 정부는 이제라도 생활인구를 기반으로 한 정책 전환에 속도를 내야 한다. 주민등록 인구만을 기준으로 인프라와 예산을 결정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국민이 실제로 살아 움직이고 생활하는 곳에 정책과 자원이 함께 따라가야 한다.
홍천군민들은 오랜 시간 이 철도를 간절히 기다려 왔다. 이제는 중앙정부가 응답할 차례다. ‘철도 없는 900만의 도시’, 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일, 그 첫걸음이 바로 ‘용문~홍천 철도’ 개설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