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탄핵 정국에 지방 의원들도 혼란… 조기 대선 등 촉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탄핵소추안 통과를 위해 상경한 강원도의원들의 모습. 왼쪽부터 전찬성 도의원, 박윤미 도의원. (사진=전찬성 도의원, 박윤미 도의원 페이스북)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회가 탄핵 정국에 접어들며 강원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방선거가 2년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며 지역정가에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 지방의원들은 정치적 진로를 두고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전체 의원 49명 중 42명이 국민의힘 소속인 도의회를 비롯해 각 시·군 의회에서 국민의힘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은 만큼, 윤 대통령의 거취에 따라 권력구조가 재편될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의원들은 침착하게 지켜보겠단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을 향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면 이탈 인원이 나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미 속초에서는 김진기 전 속초시의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이유로 지난 4일 국민의힘 탈당 소식을 전했다. 여당 지방의원들 사이에선 2026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탈당을 택하는 사례가 더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풀뿌리 표심 공략에 투입돼야 할 지방의원들의 이탈 움직임이 커질 경우 여당의 대선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국민의힘 소속 한 지방의원은 “탄핵이든 질서 있는 퇴진이든 관계 없이 조기 대선이 이뤄진다면 국민의힘 입장에선 힘든 선거가 될 것 같다”며 “이번에 벌어진 일련의 사태에 대해 도민들께서 회초리를 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반면, 야당 소속 지방의원들은 탄핵소추안 통과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앞서 지난 6일 더불어민주당은 지방의원들을 대상으로 ‘전국 원외지역위원장-지방의원 연석회의’ 개최를 공지하며 탄핵 소추안 의결까지 국회 회관에 대기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은 국회 내부 지역구 국회의원실과 대회의실 등에서 지난 7일 새벽 5시까지 밤샘 대기를 이어갔다. 비상대기 이후엔 국회 앞 집회에 참여하며 목소리를 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