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 제작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달 19일 일반인에게 공개된 우표첩은 창간 80주년을 앞 둔 강원일보와 협업을 통해 만들어졌다. 이번 우표첩의 제작 과정과 의미에 대해 마재욱 강원지방우정청장은 “이번 우표첩은 강원도와 강원도민의 과거와 현재를 오롯이 담아낸 소중한 기록”이라며 강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기념 우표첩 제작 계기가 궁금하다=강원특별자치도의 출범은 1395년 강원도 정도(定道) 이후 628년 만에 이뤄진 역사적인 사건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강원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볼 수 있는 특별한 우표첩 제작을 고민했고 기획작업을 거쳐 성공적으로 제작하게 됐다. 강원도민의 희로애락과 강원 역사의 주요 순간들을 우표로 담아내는 작업은 저희 강원지방우정청 직원들에게도 매우 뜻깊은 경험이었다.
■우표첩 구성에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처음에는 역사적 사건 위주로 구성하려 했다. 그러나 강원일보와 협업하면서 도민의 삶과 감정이 담긴 사진들에도 주목했다. 그래서 ‘강원의 역사를 잇다’와 ‘강원의 희로애락’ 두 가지 주제로 나눠 우표첩 제작에 나섰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평창동계올림픽 같은 역사적 사건과 함께 빨래터, 막국수 제면처럼 도민의 일상과 추억까지 기록했다.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면서 더 완벽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제작 과정에서 느낀 점이 있다면=강원일보가 보유한 자료의 방대함과 깊이에 감탄했다. 특히 협업 과정에서 강원일보가 사진을 통해 도민들의 삶을 얼마나 생생하게 기록했는지 알게 됐다. 덕분에 우표첩이 단순히 기록을 넘어 감동을 줄 수 있는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첫 시리즈가 이렇게 훌륭하게 나와 정말 기쁘다.
■우표첩의 활용 방안은= 이 우표첩은 단순히 수집가를 위한 것이 아니다. 강원의 역사를 홍보하고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강원특별자치도의 가치를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 주요 기관이나 학교에서도 교육 자료로 활용하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프로젝트가 이어지나= 물론이다. 이번 우표첩 제작을 계기로 강원일보와 함께 매년 강원특별자치도와 관련한 의미 있는 우표를 제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강원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