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ELS(주가연계증권)에 50억원을 투자했다가 40% 이상 손실을 본 강원문화재단의 기금운용(본보 지난 7월22일자 1면 보도)을 두고 책임소재를 규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원특별자치도의회에서 나왔다.
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는 10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회의를 열고 도가 제출한 ‘(재)강원문화재단출연 동의안’을 심사, 가결시켰다. 집행부는 동의안을 통해 2025년 세출예산에 반영하고자 하는 604억원 규모의 강원문화재단 출연에 대해 의원들의 의결을 요청했다.
의원들은 동의안을 원안대로 통과시키면서도 재단이 ELS 투자로 원금 손실을 본 사실을 지적하며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유순옥(국민의힘·비례) 도의원은 “세금으로 무리하게 ELS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봤다. 규정을 어긴 부분이 있을텐데 감사위원회를 통해 제대로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관희(국민의힘·춘천) 도의원 역시 “개인의 일탈도 있겠지만 문화재단의 시스템 문제도 있을 것”이라며 “산하기관에도 유사한 문제가 만들어질 위험이 있다 조속히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의 관리 소홀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기홍(국민의힘·원주) 도의원은 “투자결정 과정에서 도 문화체육국에 보고가 됐는지 궁금하다. 보고가 됐음에도 이같은 일이 발생했다면 명백한 관리소홀”이라고 꼬집었다.
명백한 책임소재 규명을 강조한 박기영(국민의힘·춘천) 도의원은 “투자 결정 당시 이사회에 누가 참석해서 어떤 말을 했는지 조사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며 “다만 감사위원회는 사법권이 없어 어떻게 책임을 지게 할 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윤승기 문화체육국장은 “책임소재 규명과 책임자에 대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