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계를 내고 수업거부에 들어간 강원지역 의대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미 일부 의대생들은 '유급' 대상이 됐지만 대학들은 '유급'과 '휴학'을 놓고 갈팡질팡 하고 있다.
27일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 3월 1일 개강과 동시에 수업거부에 돌입한 강원대 의대 1학년 학생들은 이날 올해 학사일정 3분의 1이 지나면서 유급 대상이 됐다.
강원대 의대 학생들은 휴학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신입생들마저 교양수업을 포함한 모든 수업을 거부하는 등 대부분이 동맹휴학에 동참하고 있는 상황이다. 학칙상 유급처리 대상이 되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측에 휴학 승인을 요구한 상태다. 강원대 의대 학장도 학생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휴학 허락을 대학 측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 원주의대 역시 신입생 대부분이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부로부터 의대생들의 휴학 처리를 막으라는 지시를 받은 대학들은 섣불리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날 교육부는 ‘동맹휴학’이 휴학 사유가 아니므로 승인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대학들은 궁여지책으로 계절학기 최대 이수학점 기준을 완화하는 등 유급 방지 대책을 마련했지만, 의대생들의 복귀가 이뤄지지 않을 땐 이마저도 소용이 없어진다.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과 휴학을 떠나 지역 의료계는 비상이 걸렸다. 강원대병원을 비롯한 도내 대학병원들은 전공의 이탈에 이어 의대 졸업생들이 배출되지 않으면 인력난에 따른 의료공백이 불가피 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내 대학 관계자는 “의-정 갈등이 해소되거나 정부가 의대생과 관련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현 상황을 타개할 수 있다”며 “학생들이 일단 복귀하기만 하면 유급을 피하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는데 그렇지 못해 아쉽고 답답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