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 원내대표가 13일 첫 공식 회동했다. 긴밀하게 소통하자고 의견을 모았지만 쟁점 법안에 대해서는 팽팽한 긴장감을 형성하며 강대강 대치를 예고했다.
국민의힘 추경호·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만났다. 지난 9일 선출된 추 원내대표가 한발 앞서 선출된 박 원내대표를 찾아가 인사를 전했다.
박 원내대표는 "집권 여당 원내대표로 책임감을 느낄 텐데 산적한 현안을 풀어가는 데 야당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중요하다"며 "현안을 풀어가는 인식 방향엔 분명한 차이가 있는데 얼마나 소통으로 풀어갈지 기대도 크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협상하면서 첫 번째는 소통"이라며 "앞으로 하시는 말씀을 경청하며 대화하면 잘 진행되겠다는 기대감이 생긴다"고 화답했다.
화기애애했던 분위기는 쟁점이 나오자 달라졌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침체가 심각한데 집권 여당이 민생지원금 편성을 위해 추경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민주당이 추진하는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지급 이슈를 꺼냈다. 이어 "해병대원 특검법 때문에 많이 긴장되는데, 총선 민심 수용 여부를 가르는 상징적 사안"이라며 "국민의힘이 대통령에게 수용을 건의하는 것이 민심을 받드는 길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말씀드린다"고 압박했다.
또 "총선 민심을 받들어 (22대 국회) 원 구성이 원만히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추 원내대표는 "공개적으로 드릴 말씀은 없다"며 "인사차 상견례 자리로, 구체적 사안에 대해 갑자기 들어오고 제가 혹 견해를 얘기하면 우리가 더 이상 대화를 못 하지 않겠느냐"고 반응했다.
이와함께 "(대화로) 정국을 잘 풀어 나간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간을 좀 가지자"고 제안했다.
이날 언급된 쟁점을 비롯해 상임위 배분 등 원구성을 놓고도 여야는 큰 견해차를 보이고 있는 상태다.
향후 여야 원내대표는 일주일에 한 차례 이상 만나 현안을 긴밀하게 논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