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강원도청 2청사·첨단국가산업단지 … 각종 호재에 강릉 부동산 관심 집중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아파트매개가격 전년대비 6.27% 상승 수준 유지
지역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입주물량 적어 영향
“첨단국가산단 등 호재에 부동산시장 우상향 전망”

◇2023년 3월 2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제공=한국부동산원>

최근 첨단국가산업단지 후보지에 오른 강릉의 집값 상승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국적인 부동산 침체 흐름에도 불구, 이천 논산과 함께 강릉 등 일부 지역만 유독 견조한 흐름을 이어간데다 호재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KB부동산의 ‘2023년 2월 월간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강릉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최근 전국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1년 전인 지난해 2월에 비하면 여전히 6.2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구 단위 중 경기 이천(6.33%)에 이어 두 번째였으며 춘천과 원주가 1년 전 대비 각각 0.79%, 1.64% 오른 가격을 형성한 것에 비하면 높은 수치다.

강릉을 포함해 바다와 맞닿은 동해안 지역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고 ‘사계절 관광지’로 거듭나면서 주거 가치가 상승한 점과 세컨드하우스 수요가 꾸준히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강릉지역 아파트 입주물량이 수요에 비해 부족한 점도 영향을 끼쳤다. 부동산플랫폼 지인에 따르면 강릉지역 올해 입주 물량은 KTX강릉역동도센트리움 454세대 등 총 1,221세대에 불과해 부동산시장에 주는 충격은 거의 없을 전망이다. 지난해에는 533세대 입주에 그쳐 수요에 크게 못 미쳤다.

여기에 이번 첨단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도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대목이다. 국가산단 조성에 따라 양질의 일자리와 인력 등이 들어오고 그에 따른 인프라 개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이 부동산 가격 상승 요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산단 조성 및 인프라 확충까지 긴 시간이 걸리는 점은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영숙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강릉시지회장은 “강릉은 올해까지 이렇다 할 아파트 입주가 없고, 크고 작은 호재가 이어져 부동산시장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첨단국가산업단지 지정이 현재 가격에 이미 일부 반영된 점을 감안해도 호재인 점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타임머신 여행 '라떼는 말이야~'

일상에서 답을 찾는 '골목 실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