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물가 상승률 둔화, 서민 체감하도록 대책 마련을

추석 연휴를 앞두고 강원도 소비자물가지수가 6%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강원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09.97(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6.7% 상승했다. 도내 물가는 지난해 11월부터 4.5%로 올라선 후 올 들어 1월 4.3%로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증가하며 4월 5.9%, 5월 6.7%까지 치솟았고 6월 7.3%, 7월 7.6% 등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왔다. 상승세 둔화는 7개월 만이다.

하지만 물가 오름세가 주춤하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고물가다. 2%대의 상승률을 적정선으로 보는 현실에서 6.7%는 한참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현재의 물가 동향은 잡혔다기보다는 고공행진 중에 잠시 둔화된 것으로 봐야 한다. 물가 정점은 아직 오지도 않았다. 복병도 너무나 많다. 유가는 계속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다. 중동의 감산 여부와 수요 전망에 따라 널뛰기를 계속한다. 그럼에도 언제나 선물이 현물가보다 높다. 추세적 하락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강원도 내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데는 국제유가가 누그러진 영향이 크다. 도내 기름 값은 6월 5주 차에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장바구니물가’ 급등세가 심상치 않은 점은 유의할 대목이다. 실제 신선채소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1.4%, 전월 대비 12.7% 각각 상승했다.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가격은 83.8%, 무는 63.8% 폭등했고, 호박(93.3%), 오이(76.3%), 파프리카(61.1%) 등도 크게 올랐다. 여기에 공공요금과 각종 가공식품 및 외식 서비스 가격 추가 상승이라는 시한폭탄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서민들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물가 급등은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침체를 유발하고 임금 상승을 압박하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국민에게도, 정부에게도 모두 중요한 과제인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물가 관리를 최우선순위로 두고 가용한 정책의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 특히 서민 가계가 물가 상승세 둔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밥상물가의 폭등세를 멈추는 데 역량을 모으고 농축수산물 등 생활물가 안정화 대책을 실행해야 한다. 여기에 환율 인상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가능성이 여전해 긴밀한 생필품 수급 관리 대응책이 지속적으로 가동될 필요가 있다. 또 고물가 부담이 큰 서민·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생활고를 덜어주는 구조적 정책도 절실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